|
j 파일을 수정하기에 앞서 간단한 구조와 기초 지식을 알아 보기로 합시다.
크게 3가지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1 변수부분
2 함수부분
3 함수들을 콜하는 부분입니다 <<< 대충 이정도 의미로 해주겠습니다....;;
우선 각 부분을 자세히 그림으로 알아보죠 왜냐하면 각부분마다 들어가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앞서서 추출했던 j 파일을 에디터 플러스를 이용하여 열어보겠습니다. 참고로 j 파일은 그냥 메모장으로 도 열어볼수있으나
메모장으로 열면 상당히 알아보기 힘들게 나옴니다. 그러니 에디터 플러스를 언플 자료실에 가셔서 받은 다음에
에디터 플러스로 열어줍시다.
쉬운 예제 맵이라 친절하게도 주서가 다 남아있군요..그렇지만 다른 유즈맵은 주서는 없을 것입니다.
globals 보이시죠 전역변수를 선언하는 부분입니다 즉 저 부분부터 endglobals 까지 그 사이에 있는것들이 다 변수입니다.
아래로 쭈~욱 내리시면 endglobals 를 찾을수있습니다. 아니면 ctrl + F 로 직접 입력해서 찾아가도 되지만 한번 쭉 내리시면서
변수형태들을 구경해보세요.
위에도 설명이 되어있지만 endglobals 아래부분 부터는 함수부분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함수부분은 function 으로 시작되는 모든 것들입니다.
그럼 이제 끝까지 내려보세요~!
이제 마지막 부분인 콜 부분입니다 위쪽에 보면 function config 라고 된함수 보이시죠 그 아래로 콜되는 부분은 이 부분은 언제나 가장 마지막 부분이기 때문에 금방 찾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j 파일에 3 가지 부분을 다 봤습니다 우리가 부르는 치트라는것은 그냥 합수들입니다 우리가 유즈맵을 하면서
조합 이라는 단어를 체팅 창에 입력하면 조합을 설명하는 텍스트가 화면에 출력되는것도 함수구요 돈이 나오는 치트를 만들고
싶다면 이벤트를 화면에 텍스트가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돈이 들어오게 만들면 그것이 치트입니다...;;
그럼 치트를 쓸수있게 만들기 위해서는 치트를 발동 시키는 함수를 만들어서 j 파일에 추가 시켜야 하는데 모든 함수들은 [변수부
분, 함수부분, 콜 부분] 이렇게 3가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치트함수들을 모아놓은 것을 치트셋이라고 부름니다 치
트셋도 j 파일과 동일하게 3가지 부분을 가지고있겠죠 그럼 다음 강좌에서는 이런 치트 셋을 j 파일 에 넣는 것을 배우겠습니다
이번 강좌를 잘 이해하셨다면 다음은 완전 누워서 떡먹기입니다.
크게 3가지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1 변수부분
2 함수부분
3 함수들을 콜하는 부분입니다 <<< 대충 이정도 의미로 해주겠습니다....;;
우선 각 부분을 자세히 그림으로 알아보죠 왜냐하면 각부분마다 들어가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앞서서 추출했던 j 파일을 에디터 플러스를 이용하여 열어보겠습니다. 참고로 j 파일은 그냥 메모장으로 도 열어볼수있으나
메모장으로 열면 상당히 알아보기 힘들게 나옴니다. 그러니 에디터 플러스를 언플 자료실에 가셔서 받은 다음에
에디터 플러스로 열어줍시다.
쉬운 예제 맵이라 친절하게도 주서가 다 남아있군요..그렇지만 다른 유즈맵은 주서는 없을 것입니다.
globals 보이시죠 전역변수를 선언하는 부분입니다 즉 저 부분부터 endglobals 까지 그 사이에 있는것들이 다 변수입니다.
아래로 쭈~욱 내리시면 endglobals 를 찾을수있습니다. 아니면 ctrl + F 로 직접 입력해서 찾아가도 되지만 한번 쭉 내리시면서
변수형태들을 구경해보세요.
위에도 설명이 되어있지만 endglobals 아래부분 부터는 함수부분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함수부분은 function 으로 시작되는 모든 것들입니다.
그럼 이제 끝까지 내려보세요~!
이제 마지막 부분인 콜 부분입니다 위쪽에 보면 function config 라고 된함수 보이시죠 그 아래로 콜되는 부분은 이 부분은 언제나 가장 마지막 부분이기 때문에 금방 찾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j 파일에 3 가지 부분을 다 봤습니다 우리가 부르는 치트라는것은 그냥 합수들입니다 우리가 유즈맵을 하면서
조합 이라는 단어를 체팅 창에 입력하면 조합을 설명하는 텍스트가 화면에 출력되는것도 함수구요 돈이 나오는 치트를 만들고
싶다면 이벤트를 화면에 텍스트가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돈이 들어오게 만들면 그것이 치트입니다...;;
그럼 치트를 쓸수있게 만들기 위해서는 치트를 발동 시키는 함수를 만들어서 j 파일에 추가 시켜야 하는데 모든 함수들은 [변수부
분, 함수부분, 콜 부분] 이렇게 3가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치트함수들을 모아놓은 것을 치트셋이라고 부름니다 치
트셋도 j 파일과 동일하게 3가지 부분을 가지고있겠죠 그럼 다음 강좌에서는 이런 치트 셋을 j 파일 에 넣는 것을 배우겠습니다
이번 강좌를 잘 이해하셨다면 다음은 완전 누워서 떡먹기입니다.